특수교육학 전공(긍정적행동지원 전문가 과정 통합)
응용행동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
본 강의는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행동의 원인에 근접한 중재계획을 세움으로써 좀 더 체계적인 행동변화의 과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 응용행동분서의 구체적 실행의 기본이 되는 철학 및 심리학적 배경을 함께 탐색한다.
긍정적행동지원의 이론 및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본 과목은 전반적인 행동중재의 원리와 기법 및 행동중재 분야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와 실제 기법을 학교현장의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자세히 다루며, 현장실습을 통하여 사례에 적응해 보는 과목이다.
행동진단 및 중재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and Function-Based Intervention)
본 과목에서는 개인의 행동과 환경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직·간접적인 행동 기능평가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에 적합한 문제행동 예방 및 대처 차원의 긍정적 행동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단일대상 연구 방법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특정 개인의 특별 행동변인(종속변인)을 중재 전과 중재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중재의 효과가 외생변인 때문이 아니라 중재(독립변인)의 실험적 조작의 결과임을 증명하는 다양한 실험설계 방법을 배우는 과목이다.
지적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지적장애의 개념과 특성 ,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 그리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구성하고 교수하는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장애학생 통합교육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전인적인 성정발달을 위해 통합교육의 배경과 근거, 철학적 이념, 논쟁들을 바탕으로 학교교육의 서비스 차원에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고, 통합교육 현장의 실천 사례들을 중심으로 통합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자폐범주성장애학생 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폐범주성장애학생 교육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며 이러한 이론의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학습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학생의 특성과 원인을 살펴보고 그들의 교육적인 문제를 분석하여 그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과 방법을 모색한다 .
청각 및 언어장애학생 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 Hearing Impairments)
언어장애와 청각장애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교육적 특성과 필요에 따른 교육전반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중복·중도장애학생교육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여러 가지 중복장애의 유형과 원인을 살펴보고 , 중복장애의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을 구성하고 훈련시키는 교육방법 등을 포함하는 중복장애아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Theory of Subject Matter of Special Education)
교과교육의 일반적인 이론과 실제적인 방법들을 바탕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발전을 전망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한다.
특수교육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교과 및 교재에 대해 연구하고, 교과서 재구성, 교구 제작, 수업실연 등을 통해 교과 시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자문과 협력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of Professionals in the Special Education)
함께 협력해야 하는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들이 하는 일과 조직의 체계 및 특징을 이해하고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소통과 배려를 통해 조직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극대화 한다.
사례연구 (Case Study in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현장을 관찰하고 실제 교육이론을 적용하여 가르친다. 또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연구주제를 정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적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여 분석한다.
TESOL 전공
영어어휘 및 문법지도 (Teaching Vocabulary & Grammar)
어휘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어휘와 문법을 통합적으로 지도함으로써 영어의 총체적인 의사소통능력향상으로의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현대영어학연구 (Understanding of Modern English Linguistics)
영어의 역사적 변천과정, 음성, 음운, 형태, 구문 증 영어와 영어학 그리고 인간의 언어와 사용에 대한 응용언어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교육과 문학 (English Education & Literature)
문학이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사용되고 왜 필요한가? 학습자들에게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 중요한 영문학의 역할에 대해서 탐구해 본다.
연구방법론 (Introduction to Research)
영어교육분야의 기존 연구논문을 강독하고 분석하며 영어교육분야의 연구방법론을 학습하고, 논문을 직접 작성하며 영어교육전공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 작성법을 익힌다.
영어교육의 이론과실제 (Theory & Practice in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의 기초이론과목으로서 영어교육의 기본 이론과 실제 지도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영어교육의 찬반론, 제2언어 습득론, 외국어학습론, 교육 과정론 등의 기초를 익힌다.
영미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American & British Culture)
영어지도에 필요한 영미문화를 학습하고 영미문화지도에 필요한 교수법을 학습한다. 영국과 미국의 역사, 영미인들의 생활과 문화, 영어의 역사 등을 익히고 이를 지도하는 방법을 익힌다.
영어발음의 이해 (Understanding of English Pronunciation)
영어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발음과 관련된 여러 내용을 학습하고 숙달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실질적인 연습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어교재연구 및 지도법 (English Material Research & Methodology)
논문 (Thesis)
영어교육 분야의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논문작성계획을 수립하고 형식과 내용과 관한 지도를 받아 논문을 작성한다.
Independent Study (Independent Study)
TESOL 교과과정외의 심화과정으로 TESOL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관심 주제들을 연구한다. 담당교수의 지도아래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는 학생이 계획한다.
현재 페이지를 즐겨찾는 메뉴로 등록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