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심리학 전공
발달심리학 , Developmental psychology
Freud, Erikson, Piaget 의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아동기 정서 및 인지 발달과정을 이해한다 . 대뇌의 생물학적 발생과 언어발달 , 그리고 EQ 와 관련된 기질발달을 알아본다 .
성격심리학 , Personality
성격 형성 과정을 발달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 성격 형성의 생물학적 동인과 사회적 영향을 이해한다 . 나아가 , 성격의 구성요인에 따른 제 이론을 공부한다 .
상담심리학 , Counselling psychology
정신분석적 상담과 지지적 상담에 대한 기초 이론과 대표 학자들의 이론을 공부한다 . 분석적 상담과 지지적 상담의 차이와 치료 목표에 대한 것을 알아본다 . 또한 지지치료에 대한 각 이론을 공부한다 .
정신병리학 , Psychopathology
정신질환을 야기하는 생물학적 근거와 신경전달 물질의 기능에 대해서 공부한다 . 정신질환의 유전적 기여를 자폐증 , 과잉활동 증후군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인지행동치료 ,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avlov 와 Skinner, 그리고 Bandura 에 학습이론과 인지치료 이론을 공부한다 . 인지치료 이론은 Ellis, Beck, Seligman 을 중심으로 이해한다 . 나아가 학습에 근거한 행동수정 이론과 인지적 사고방식 변화가 어떻게 행동 변화를 초래하는지 학습한다 .
미술치료도구 Tools in art therapy
개인의 무의식적 갈등을 표출할 수 있는 미술치료 도구들을 공부하고 , 이것이 치료기법과 어떤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그 기본 가정을 학습한다 . 또한 자폐아동을 치료 교육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본 기법들을 공부한다 .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 Art therapy in psychoanalysis
Freud 의 성격 구조이론에 따라서 의식과 무의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 이것이 자아 , 초자아 , 원초아와 어떤 연관성을 갖는 가를 이해한다 . 분석적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어떤 방식으로 치료에 활동하는 가를 공부한다 .
인본주의적 미술치료 , Art therapy in Humanitarian approach
지지적 심리치료를 주장하는 인본주의 학파들의 기본 이론을 학습한다 . Adler 의 개인심리학 , Roger 의 내담자 중심 치료방법 , 그리고 형태주의 학파들의 치료 기법 등을 공부한다 .
이상심리학 , Abnormal psychology
정신이상을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 , 즉 생물과정 , 학습과정 , 발달과정 , 인지과정 등이 어떻게 이상행동을 유발하게 되는 지를 공부한다 . 또한 이를 근거로 이상행동을 분류하는 진단하고 분류하는 규준을 학습한다 .
심리검사 , Psychological test
성격을 검사할 수 있는 기본 절차 , 즉 비구조화 검사 유형으로는 CAT, TAT, Rorachach, 그리고 BGT 검사 방법을 배운다 . 그리고 비구조화 검사유형으로는 MMPI, PAI 등을 이해한다 . 지능검사는 Wechsler, Kaufman, 그리고 Raven 지능 검사의 적용과 해석 방법을 공부한다 .
재활심리학 , Rehabilitation psychology
장애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 장애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는 기준과 심리적 외상을 회복하는 절차를 공부한다 . 나아가 정신장애의 기본 개념과 신경학적 기능과 장애 간에 연관성도 학습한다 .
심리치료실습 , Practicum in psychotherapy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심리치료 기법이 효과적인가를 이해는 것이 목표이다 . 또한 치료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간에 상호작용 형태를 논의하고 , 치료의 전반적 흐름을 이해한다 .
연구논문 , Research seminar
임상 논문과 연구논문 간에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 논문 작성법 및 피험자 유형에 따른 분석 기법을 학습한다 .
집단미술치료 , Group Art Psychotherapy
집단미술치료 , Group Art Psychotherapy
미술치료매체 , Art Psychotherapy Materials
심리치료 과정에서 심리적 문제에 대한 감정정화 , 문제 인식 , 통찰을 촉진시키기 위한 미술활동의 유형을 학습한다 . 치료의 목표에 따라 내담자의 작품 활동을 체계화하는 방법과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서 선호하는 미술활동을 체제화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수어교원학 전공
한국수화언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Sign Language)
일반 언어학에서의 개론 과정을 이해하고 동시에 한국어에 대해서도 이해를 함으로써 수화언어학 확립에 토대가 되는 지식을 습득한다 . 이를 기초로 하여 ‘ 한국수화언어학이란 무엇인가 ’ 라는 개론적인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한국수화언어학에서 다루어야 할 이론적 쟁점 전반을 살펴본다 . 또한 한국 수화언어 (KSL) 의 문법구조 (Language-Structure of Korean Sign Language) 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 특히 일반 음성언어학과 비교연구하며 , 음운론 , 형태론 , 통사론 , 의미론 등을 연구한다 .
응용언어학개론 (Introduction to Applied Linguistics)
사회 ․ 심리 ․ 신경 언어학 , 문화인류학 등 인접학문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언어교육 ( 수화교육 포함 ) 의 기본 문제를 연구 과제로 한다 . 언어와 사회 ,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언어교육의 틀 속에서 이해하고 , 언어 전달 방법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본질을 언어교육의 틀 속에서 이해한다 . 학제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 언어교육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 사회 , 문화 , 통 ⋅ 번역 , 언어뇌과학 , 언어습득 등 분야에서 수화의 바른 위치를 이해한다 .
수화통역입문 (Introduction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수화통역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기초 교양 강좌의 성격을 띠는 강의로서 수화통역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으로 개설되며 통역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과 기초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며 , 교육내용은 수화통역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수화통역의 동향 , 공인 수화통역사로서 구비해야 할 능력과 자질 , 직업윤리 등을 강의한다 .
농사회와농문화의이해 (Understanding to Deaf Community and Culture)
다양한 농사회와 농문화를 일반 문화인류론과 대비하여 학습하고 토론한다 . 필요에 따라선 주제특강 (Special Lecture) 의 방식을 취할 것이다 . 즉 수화 통역 분야의 주요 관심사와 주요 주제 영역의 인사를 초빙하여 학생들의 수화통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 직업의 하나로서 수화통역의 분야를 개척하여 활동하게 된다 .
실전수화 (Training Use of Sign Language)
수화 스피치 , 수화 읽기 , 대화기술 습득 , 시각적 제스처의 활용을 훈련하는 과목이다 . 특히 비수지 신호와 표현을 실제적으로 학습하여 다양한 표현법을 익힌다 . 나아가 얼굴표정에서의 문법성을 찾아내고 그 신호와 표현을 연구한다 . 그리고 지문자의 표현과 활용도 연습한다 . 수업은 농사회와 관련된 주제를 가지고 학생들 자신이 발표하고 토론하는 교육방법으로 진행된다 . 발표와 토론을 수화로 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수화 사용을 훈련하는 것이다 . 동시에 발표를 준비하면서 수화와 농아인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살펴보고 , 자료를 찾음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동시통역연습 (Practice of Simultaneou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동시통역에 대한 입문으로부터 시작하여 효과적인 청취와 수화표현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필요한 집중훈련 , 음성관리 및 매끄러운 전달기법을 터득하는 데 필요한 학습을 지속한다 . 특히 최근에 시장수요가 새로이 발생하였거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야의 동시통역 연습을 위한 과목이다 . 방송보도와 인터넷 , 케이블 TV 등의 수화통역 기법에 대한 소개와 연습이 포함된다 .
수화통역세미나 (Seminar i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수화통역방식의 선택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수화언어의 관용적인 표현도 학습한다 . 또한 한국수화언어의 어원연구를 통해 한국수화언어의 기본 어휘의 뿌리를 조사하고 학습한다 . 본 강좌에서 학생들은 실제로 수화통역하고 , 자신의 수화통역 스타일과 통역 시에 주로 사용한 전략을 알고 말한다 . 교수는 그러한 학생의 수화통역 스타일과 전략의 의미 및 장단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끌면서 관련된 이론을 설명하고 학생의 수화통역 능력을 발전적으로 개선시킨다 .
미국수화 Ⅰ (ASL Ⅰ― Basic & Intermediate American Sign Language Ⅰ )
미국수화의 언어학적인 이해를 함양하기 위한 강좌 ( 미국수어 Ⅰ , Ⅱ ) 로서 미국수화 어휘를 중심으로 시작해서 문단 , 텍스트 단위의 미국수화를 점차적으로 이행하며 습득한다 . 미국의 농 사회와 농 문화에 관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와 지식 습득을 위해 관련 책이나 자료들을 읽게 한다 .
국제수화 (Internation Sign Ⅰ )
국제 농인사회에 주된 의사소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제수화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으로 국제수어의 발달사와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
국제수화 (Internation Sign Ⅱ )
국제수화로 기본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기초회화와 중급 수준의 국제수화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 이를 통하여 일상생활 관련 상황에서는 통역할 수 있게 한다 .
국제수화 (Internation Sign Ⅲ )
다양한 상황에서 국제수화의 통역이 가능하도록 고급수준의 국제수화를 학습하며 , 실제로 국제수화통역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가서 관찰과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구논문지도와작성 (The Craft of Research)
수화학 및 수화통역 분야에서 중요하거나 문제가 되는 내용을 선정하여 미리 작성된 연구계획서에 따라 지도교수와 한 학기 동안 정기적으로 만나 지도교수와 함께 학위 논문을 작성한다 .
언어치료학 전공
의사소통장애개론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Disorders)
여러 가지 종류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개관을 하고 , 그 원인 , 전형적인 증상과 진단 및 치료의 전반적 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언어병리학의 기초를 확립한다 .
청각학개론 (Introduction to Audiology)
청각계통의 생리 해부 및 청지각 과정을 이해하고 각종 청각장애의 원인과 결함의 유형을 고찰하며 , 청각학의 최근 연구동향 , 연구방법 , 연구과제 등을 토의한다 .
언어발달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언어 이전기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능력과 옹알이 , 남어 , 초기단어 , 초기문장 시기에 발달하는 소리 및 언어기술 등을 의미론 , 구문론 , 화용론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연구한다 .
조음음운장애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음운발달과정과 조음장애의 원인 , 증상 ,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고 보다 효과 적인 진단과 치료법을 연구 한다 .
언어발달장애 (Child Language Disorders)
아동의 발달성 언어장애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기초로 , 의미론 , 구문론 , 화용론의 측면에서 언어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
한국어학개론 (Korean Grammar)
형태론 , 통사론 , 의미론 및 화용론을 학습하고 각각의 언어층위별로 언어 기술 및 분석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언어발달장애 연구의 기초지식을 확립한다 .
발성장애 (Voice Disorders)
음성산출기관의 해부생리 및 정상 음성 산출기전에 대해 습득하고 음성의 문제를 유발하는 질환에 대해 학습하며 , 이러한 이론적 지식을 기초로 하여 발성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한다 .
신경언어장애 (Neurogenic Speech-Language Disorders)
신경계 결함으로 인한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을 연구하고 , 이를 기초로 신경언어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 언어적인 증상에 따른 최근 치료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This course provides the study of ethology and linguistic symptom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due to neurogenic injury and disease and exploration of general evaluation strategies and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treatment programs for the patient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신경말장애 (Neurogenic disorders of speech)
중추신경계의 결함 및 손상을 원인으로 하여 나타나는 말장애와 연관된 신경학적 , 언어병리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진단방법과 치료방법을 탐구하고 모색한다 .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knowledge of neurology and speech pathology related with speech disorders secondary to brain damage, and explores the general evaluation strategies and the current treatment programs for the patients.
유창성장애 (Fluency Disorders)
유창성에 결함을 나타내는 성인 및 아동에 대하여 원인과 특징을 고찰하며 , 유창성 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치료법과 최근 실시되고 있는 여러 가지 치료접근법들을 검토 , 연구한다 .
임상관찰 (Clinical Observation)
임상실습에 대한 준비과정으로 지도교수가 인정하는 언어치료기관에서 임상을 관찰하고 , 그 관찰 사례에 대하여 평가하고 분석한다 .
임상실습 (Clinical Practicum)
지도교수의 감독 하에 언어병리현상을 나타내는 아동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진단과 치료과정을 실습하고 전 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훈련을 한다 .
언어병리학의동향및과제 (Trends and Issues of Speech-Language Pathology)
언어병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과제 등을 토의한다 .
말 · 언어장애진단및평가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각종 언어장애를 동반한 사람들에 대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한 다각적 검사도구의 사용과 분석 및 해석방법 , 나아가 진단에 근거한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등을 모색하며 , 실제로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훈련을 한다 .
음성학및음운론 (Phonetics and Phonology)
조음음운장애 치료의 기초가 되는 조음음성학 및 음향음성학의 기본개념 , 즉 , 말소리의 정의와 분류 , 변별자질 , 음운규칙 및 음운변동 , 초분절적 특성 , 방언 등에 대해 연구하고 , 음성전사 기술을 훈련한다 .
응용행동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
응용 행동분석 방법을 습득하고 실제 사례를 가지고 실습함으로써 행동수정을 언어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익힌다 .
말 · 언어해부및생리학 (Anatomy and Physiolog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관여하는 조음기관 , 발성기관 , 청각기관 , 대뇌기관 등의 명칭 , 기능 및 생리를 익히며 이러한 기관들이 언어 및 의사소통 활동에 미치는 역할을 고찰한다 .
복합장애의언어연구 (Studies in Communication Disorders with Multiple Handicaps)
복합장애인의 섭식 및 의사소통에 관한 문헌을 기초로 그들의 능력을 진단하는 방법과 잔존능력을 최대화하는 방안과 실용적 대안 등을 탐구한다 . 의사소통을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기기나 방법을 연구 , 모색하며 다양한 사례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한다 .
구개파열언어 (Cleft Palate Speech)
구개파열의 종류와 원인 및 말 - 언어적인 특성 및 의료적인 치료과정을 살펴보고 조음 , 언어 , 발성적인 측면에서 시행되는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
특수아동세미나 (Seminar in the Handicapped Children)
언어장애를 동반할 수 있는 특수아동들에 대한 정의 및 특성과 그 유형에 대해 고찰하고 그들을 위한 교육적 · 치료적 접근법에 대해 연구한다 .
청각장애언어재활 (Rehabilitation of Hearing impairment)
청각학 및 청각장애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언어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
언어장애아동의부모지도 (Parents Education of the Language Disordered Children)
말 - 언어장애 아동을 가진 부모들의 심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 그들에게 , 가정에서의 언어지도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상담해 주고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연구논문 (Independent Study)
의사소통 장애와 연관된 특정 주제를 선정하고 , 지도교수의 지도하에서 그 주제와 연관된 실험연구나 문헌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
학령기언어장애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언어습득기를 지난 학령기에 있는 아동의 말 - 언어의 문제에 대해 진단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고찰하고 실습한다 .
신경말장애 (Neurogenic disorders of speech)
중추신경계의 결함 및 손상을 원인으로 하여 나타나는 말장애와 연관된 신경학적 , 언어병리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진단방법과 치료방법을 탐구하고 모색한다 .
재활공학 전공
재활보조공학특론
일상생활동작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보조공학의 고급공학과 저급공학을 이해하고 첨 단공학적 접근 방법이 어떤 방법으로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강의를 행한다 .
특수교육공학특론
특수교육을 위해 필요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대하여 학습하며 , 특히 테크놀로지의 적절성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한다 .
재활전문가를위한인간공학
일상생활 동안 생활의 편리성과 인체공학적 접근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 이를 통하여 장애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들을 익힌다 .
컴퓨터보조교수설계
장애 학생들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설계와 관련된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코스웨어 설계 및 개발자로서의 전문성을 익힌다 . ADL 특론 일상생활동작 가운데 신변돌보기 , 보행 , 손동작 등에 관한 다양한 유형을 이해하고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일상생활동작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시켜 주고 , 경우에 따라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일상생활동작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게 된다 .
ADL 특론
일상생활동작 가운데 신변돌보기 , 보행 , 손동작 등에 관한 다양한 유형을 이해하고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일상생활동작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시켜 주고 , 경우에 따라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일상생활동작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게 된다 .
휠체어공학특론
휠체어의 구조와 생역학에 대해서 학습하고 휠체어 사용자의 앉기 및 자세에 대하여 학습한다 .
의지 / 보조기학특론
의지 및 보장구의 원리와 적용에 대해서 학습하고 , 의지 및 보조기가 사용자의 기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과 데이터를 수집 분석한다 .
컴퓨터보조교수개발
장애 학생들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코스웨어 설계 및 개발자로서의 전문성을 익힌다
응용장애진단평가
재활공학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장애의 각종 평가방법 ( 운동기능 평가 , 근력평가 , 호흡기계 평가 등 ) 에 대한 학문적인 원리를 강의한다 .
재활공학세미나
재활공학 연구를 설계하고 실시하는 방법을 토의하고 다양한 자료와 연구 결과를 통계 처리하는 지식을 습득한다 .
재활보조기기설계및개발
재활 및 보조기기 설계와 관련된 포괄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재료의 종류 및 특성 , CAD, CAM, 인간공학 , 생체역학 등 기기의 설계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
재활스포츠학 전공
재활스포츠 (Rehabilitation Sports)
운동 상해 또는 사고로 인한 근 골격근 및 신경계 전반에 걸친 기능적 검사와 재활 운동치료 및 각종 스포츠 활동에서 발생하는 손상과 질병을 진단하고 재활 효과를 다룬다 .
운동처방 (Prescription of Exercise)
과학적이고 체계적 운동을 위하여 운동의 질과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다룬다 . 특히 운동처방을 위한 각종 검사법과 운동제시 방법 , 실제 지도상의 문제점 등에 관한 현장 중심적으로 연구한다 .
특수체육 (Adapted Physical Activity)
장애인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특징을 이해하고 각 장애영역의 특성과 체육활동을 배우고 장애인 체육지도에 응용한다 .
인체해부학 (Human Anatomy)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과 부위별 기관 구성의 형태를 육안 적으로 관찰하고 세부적인 부분을 학습하여 운동과 관련된 인체의 해부학적 원리를 이해한다 .
운동과영양 (Sport Nutrition)
운동과 관련된 영양학 지식을 학습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학습 , 에너지 대사 , 영양소의 대사 , 영양소의 균형 , 운동과 영양의 관련성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스포츠심리학 (Sport Psychology)
스포츠 행동의 한 측면인 운동수행에 관한 과학적 연구로서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 심리적 변인들과 개인의 외적 심리적 변인들의 사회적 변인들 및 그 과정을 규명한다 .
운동생리학 (Physiology of Exercise)
운동 시에 발생하는 인체 내의 다양한 변화를 생리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건강유지 증진 및 경기력 향상의 측면에서 긍정적 이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이다 .
건강관리 (Health care)
건강관리 교육은 성장발육의 왕성한 청소년기로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건강에 관한 , 습관 , 태도를 갖게 하고 개인의 건강 및 공중보건을 이해하는데 있다 .
재활의학 (Rehabilitation Medicine)
장애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인 장애나 상해 등의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최대한 기능을 회복시켜 생활에 어려움이 없게끔 치료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문이다 .
트레이닝방법론 (Training Methodology)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과 생리적 , 과학적 운동효과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다 .
치료레크리에이션 (Therapeutic Recreation)
치료레크리에이션의 개념과 방법 , 이론적 근거 및 실질적인 방법을 학습하고 익혀서 장애인 , 노인 , 재활대상자들에게 적용하는 기법을 익힌다 .
운동역학 (Sport and Exercise Biomechanics)
신체운동을 역학적 측면에서 관찰 , 분석하여 신체 운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역학적 분성을 위한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
스포츠마사지와테이핑 (Sports Massage and Taping)
신체의 부상을 예방 및 부상이 있는 선수 재부상을 예방하고 가벼운 부상이 있는 선수의 보조적인 보조물과 부상선수의 빠른 회복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
운동학습제어 (Motor Learning and Control)
운동제어에 스포츠 기술의 기초과학의 원리응용에 관련된 신체 감각 , 시각 , 지각 , 등의 시스템과 신경운동 협응 제어의 동작 시스템을 학습한다 .
문학치료전공 (Poetry/Journal Therapy Major)
문학치료의 이론과 실제 (Poetr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미국 NAPT 의 정의에 입각한 문학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체험을 통해 배운다 .
저널치료의 이론과 실제 (Journal Therapy: Theory and Practice)
저널치료 , 특히 K. Adams 의 저널치료를 중심으로 다양한 저널치료의 이론과 기법을 체험을 통해 배운다 .
글쓰기치료 (Writing for Healing)
페니베이커를 기초로 한 글쓰기치료와 그 외 여러 글쓰기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시치료 세미나 (Poetry Therapy Seminar)
시를 활용한 문학치료에 집중하여 연구 , 학습한다 .
문학치료와 영화 (Film and Poetry Therapy)
영화를 문학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치료에 활용하도록 체험을 통해 학습한다 .
문학의 이해 (Understanding Literature)
문학치료사는 올바른 문학작품을 선별할 수 있는 기본 자질이 필요하다 . 그 자질을 키우기 위한 문학의 이해 수업 .
시의 이해 (Understanding Poetry)
문학치료는 Poetry Therapy 라 불릴 만큼 시치료의 역할이 크다 . 시를 즐기고 더 나아가 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치료시를 선발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운다 .
아동문학과 독서치료 (Children's Literature and Bibliotherapy)
아동문학 , 그림책 , 등을 활용한 독서치료를 학습한다 .
집단문학치료 (Group Poetry/Journal Therapy)
다양한 문학 자료를 활용한 집단 글쓰기 / 문학치료의 과정과 집단역동을 체험을 통해 학습한다 .
고급문학치료세미나 (Advanced Poetry/Journal Therapy Seminar)
문학치료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문학치료와 저널 / 글쓰기치료의 이론과 논문 등을 학습함
고급심리검사 (Advanced Psychological Test)
성격을 검사할 수 있는 기본 절차 , 즉 비구조화 검사 유형과 비구조화 검사유형 , 그리고 지능검사의 적용과 해석에 대해 공부한다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정신이상에 대한 이해와 이상행동을 유발하는 과정과 이를 근거로 이상행동을 진단하고 분류하는 규준을 학습한다 .
미술치료 (Art Therapy in Psychoanalysis)
Freud 의 성격 구조이론 및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치료에 활동하는 방법을 공부 .
인지행동치료 Cognitive-Behavioral Therapy
학습이론과 인지치료 이론을 공부 . 나아가 학습에 근거한 행동수정 이론과 인지적 사고방식 변화가 어떻게 행동 변화를 초래하는지 학습한다 .
상담심리학 (Counseling Psychology)
정신분석적 상담과 지지적 상담에 대한 기초 이론과 대표 학자들의 이론을 공부한다 .
발달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Freud, Erikson, Piaget 의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아동기 정서 및 인지 발달과정을 이해 . 대뇌의 생물학적 발생과 언어발달 , 그리고 EQ 와 관련된 기질발달을 알아본다 .
문학치료실습 (Practicum in Poetry Therapy)
문학치료의 현장 실습
저널치료의실습 (Practicum in Journal Therapy)
글쓰기의 현장 실습
현재 페이지를 즐겨찾는 메뉴로 등록하시겠습니까?